1.작가_에르난 디아스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스웨덴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후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한다.
딱 봐도 3개국어에 능통할것 같다.

거기에 뉴욕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니 작가의 책이 얼마나 심도 있을까 기대가 커졌다.
"트러스트"는 작가의 두번째 작품이고 부커상 후보에 올랐고 오바마 전대통령이 올해의 책으로 선정했다고 한다.
거기에 HBO 시리즈로 제작될 예정이다고 한다.
읽기도전에 극찬 세례에 살짝 경계심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다.
2. 책과의 만남
너무나 여러갈래의 소스(책,블로그, 서점광고)에서 책들을 추천 받는다.
사실 에르난 디아스의 "트러스트"는 2022년에 나온 책으로 내가 어디서 이 책을 알게 되었는지 솔직히 잘 생각이 나질 않는다.

누군가의 책을 읽다가 발견한거 같기도 하고 "예스24" 장바구니에 넣어둔 책을 타고 들어가다 발견했는지 아직도 정확히 잘 모르겠다.
인터넷 서점 장바구니에 있는 책이 갑자기 들른 서점에 "트러스트"가 있어 구매했다.
오프라인 서점엔 내가 찜해둔 책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트러스트"가 딱 1권 있다고 하니 신기했다.
3. 기억에 남는 글
"트러스트"는 소설이지만 고급진 그리고 내가 "어떻게 이런 표현을 썼을까?" 밑줄 긋는 문단들이 많았다.
역시 작가는 아무나 하는게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기억에 남는 세련된 글귀 몇가지를 적어본다.
"벤저민은 어디에 들어가든 그 공간의 주인이 되어 모든 사람이 자기 주변을 공전하도록 만들었던 아버지와 이보다 더 다를수 없었으며, 아마 살면서 단 하루도 혼자 보내지 않았을 어머니와도 아무런 공통점이 없었다."(인간관계를 공전에 비유한것이 맘에 들었다.)
"그녀는 가장 사소한 일에도 즐거워했으며 삶의 가장 단순한 기쁨에서 가장 큰 만족감을 느꼈다. 그녀가 누린 가장 큰 사치가 하루가 끝날 때 마시는 한 잔의 코코아였다는 점은 겸손하고도 젠체하지 않는 그녀의 성품을 잘 드러낸다."
(대부호인 그녀의 겸손함을 코코아로 멋지게 녹아내렸다.)
"돈을 준다는 건 힘든 작업이다. 계획과 전략이 아주 많이 필요하다.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인도주의는 주는 사람에게도 해가 되고 받는 사람의 버릇도 망친다. 더 자세히. 너그러움은 배은망덕의 어머니다."
(누군가에게 돈을 준다는것도 쉬운 일이 아님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정해진 형태가 없는 미래라는 블록으로부터 현재를 조각해낸다."
(무슨 명언처럼 들린다. 언젠가 누군가와 대화중 써먹을수 있을것 같다.)

4. 책을 읽고나서
이 책은 일주일만에 다 읽었다.
4개의 챕터로 구성된 "트러스트"는 미국의 대공황전 부흥기부터를 시대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모든 챕터가 긴밀하게 이어져 있어 읽는 재미가 상당했다.
또한 경제용어들과 상식들을 소설속에 잘 녹여 설명하고 있어 부가적인 재미가 있었다.
한가지 이야기가 쭉 이어져가는 평면적인 기존의 소설들과 다르게 소설 속의 소설, 자서전, 회고록, 일기로 이루어진 "트러스트"는 사람에 따라 바라보는 입장이 얼마나 달라질수 있는지를 잘 표현해 주었다.
내가 생각하는 독서의 가장 큰 매력은 "공감능력"을 키울수 있다는 것이다.
책을 읽을수록 다른 사람의 감정과 의도등을 각각의 캐릭터에 들어가 살펴볼수 있어 공감능력이 차곡차곡 쌓일수 밖에 없다.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것, 다른 사람의 감정속에 들어가보는것, 이런 여행을 할수 있는건 독서가 최고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이야기 했던 "오바마 대통령이 올해의 책으로 선정했다"는건 그냥 마케팅이 아닌 팩트라는 생각이 들었다.
"에르난 디아스"란 작가를 기억해야 할것 같다. 그의 다음 작품도...
- 저자
- 에르난 디아스
- 출판
- 문학동네
- 출판일
- 2023.02.24
'활자중독자 > 완독한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국 안 책방이 있다 (1) | 2024.02.11 |
---|---|
아비투스를 읽고 (1) | 2024.02.10 |
자청의 역행자는 어떤 책일까? (1) | 2024.02.09 |
호밀밭의 파수꾼_J.D 셀린저 (0) | 2024.02.07 |
대도시의 사랑법_박상영 작가 (1) | 202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