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푸틴을 만나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 시키겠다던 당선전 약속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보였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와의 전쟁인데 두나라 중 한 나라가 빠진 상태에서 휴전 회담이 진행되는 느낌을 나만 받은 것은 아닌 것 같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인 젤렌스키가 트럼프를 만나기 위해 백악관으로 왔다.
두 나라의 정상회담이 트럼프의 집무실에서 이루어졌고 모든 나라에 생중계되고 있었다.

그때까진 일반적인 대통령들끼리의 분위기 좋은 회담일 줄 알았는데 트럼프와 젤렌스키의 언성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인 젤렌스키는 현재 우크라이나가 전쟁 중인데 이게 당신들이 느끼는 것보다 휠씬 비극적인 일이라며 감정에 호소하는 듯 보였고 트럼프는 멍청한 전 대통령인 바이든이 수천억을 전쟁에 대주며 너희를 도우고 있는데 이제 내가 만든 종전 협의서에 사인하고 전쟁 그만 끝내라고 서로의 입장을 침 튀기며 말하고 있었다.

젤렌스키도 트럼프도 각국을 대표하는 수장으로  열심히 일한다고 보면 이해가 갈 만도 하지만 전 세계에 생중계되고 있는 와중에 서로의 말꼬리를 자르며 언성을 높이는게 충격적이었다.(더군다나 트럼프는 몇 차례 젤렌스키의 팔을 만지는 고압적인 행동을 했다.)

카메라 앞에선 웃으며 악수하며 사진 찍고 사람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저런 대화를 했다면 그러려니 했을 것 같은데...

트럼프는 젤렌스키에게 미국이 너희들에게 무기를 지원하지 않았으면 우크라이나는 3일 안에 러시아에 패배했을 것이다 너희는 우리나라에 "고맙다" 말해야 해 강요하는 부통령 밴스의 발언도 충격이었다.

트럼프와 밴스의 말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젤렌스키 입장에서는 상당히 굴욕적인 발언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이 우크라이나 입장이었으면 어땠을까? 러시아가 북한이라면 또 어땠을까?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

힘이 없는 나라가 강대국에 의해서 좌지우지되는 일은 역사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중국, 일본, 북한 그리고 미국에 의해 영향받는 위치에 자리 잡는 있는 우리나라에겐 여러 가지 의미를 주는 사건이었다.

어제의 회담이 끝나고 각국의 언론들은 "외교참사"란 말로 어제의 일을 갈음하고 있다.

미국에 감사해야 함을 강요받는 우크라이나, 더 이상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위해 돈을 지불할 수 없다는 트럼프 그걸 보고 한편에서 웃고 있을 러시아의 "푸틴"에게까지 생각이 미친다.

어떠한 나라도 자국을 지킬 힘을 가져야 하고 경제적으로도 핍박받지 않을 정도로 돈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하루빨리 종식되기를 바란다..

728x90

+ Recent posts